<포퓰리즘과 대한민국의 장래> 굿소사이어시티, 2011
포풀리즘의 정의 민주주의가 나쁜쪽으로 변질되면 포풀리즘이라고 불릴 수 있음. 정책을 만들어내는 사람과 소비하는 사람들 간에, 정치인들이 국가의 단/장기적 미래와 가치관을 우선으로 두지 않고, 권력을 취득하기 위해, 민중들이 원하는 정책을 만들어내는 것을 포풀리즘이라고 한다. 보통은 복지 정책에 많이 쓰이지만, 국가 기관과 기구에도 쓰인다. 대중영합주의라고도 함 민주주의라는 것이 자유와 평등이 있음. 자유롭게 대표자를 투표할수 있는 권리와, 표 하나하나가 평등하게 가치를 가지고 나또한, 그 권리를 주장할수 있음. 라틴 아메리카의 포풀리즘 원인 정치적 -> 정당 역사가 짧음, 카리스마적인 인물, 식민지 였던 국가 였기 때문에 빈부격차가 큼, 소외된 대부분의 계층들이 지지하게 됨, 시민의식이 높지 않음 경제적..
<노년에 대하여> 윌 듀란트, 2018
『노년에 대하여』 윌 듀란트 Fallen leaves last word on life, love, war and god 1. 우리 인생의 시작우리가 아이들을 좋아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그들이 우리의 것이기 때문이다.-> 이기심( 본능을 위장하지 않고 자연스럽고 솔직하게 드러내는 것) 갓난 아기를 보라 더럽지만 경이롭고, 실질적인 모습은 우스광스럽지만 가능성은 무한하며, 궁극적인 기적인 성장이 가능한 존재이다. 시끄러운 소리를 내며 아픔을 호소아는 이 괴씸한 천 꾸러미가 언젠가 사랑, 불안, 기도, 고생, 창조, 형이상학, 죽음을 알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? 아기가 운다. 지금까지 오랫동안 조용하고 따뜻한 어머니의 자궁 안에서 잠들어 있었는데 갑자기 호흡을 강요당하고 있기 때문이다. 호흡은 고통스럽다. 억..